본문 바로가기

~ 2013

Heavy Dot

Machine: Eros of internal


Park Sangmi


The idea becomes a machine that makes the art.

- Sol Lewitt

 

It was Duchamp who brought in a machine to the contemporary art scene. In fact, his first ready-made was Bicycle Wheel. Duchamp may have not intended to make a ground breaking art when he placed one bicycle wheel on a kitchen stool. The bicycle with pedals and two wheels was first mass produced in 1860’s (the term bicycle was also coined around then). So taking one bicycle wheel and putting it upside down on a stool in 1913, was an act as avant-guard as using a part from the latest spacecraft. Duchamp’s first ready-made object, removed from a bike, still could spin, so it is also the first kinetic sculpture. In that same year, Duchamp drew Chocolate Grinder and began working on The Bride Stripped Bare by Her Bachelors, Even (also known as Big Glass) that had the chocolate grinder painted on one side. In 1925, he made a motor-attached machine calledRotary Hemisphere. It was a vortex-drawn wooden hemisphere on a turning disk which created optical illusions. Duchamp, who was not satisfied with "retinal" art, created a machine that baffled our visual field.

  

Heavy Dot _ MC Nylon, aluminium, steel, wood _ 300x300x120cm _ 2013


So is it enough to call Duchamp the first "machine artist"? Bicycle Wheel, Chocolate Grinder, and Rotary Hemisphere have something in common. They all have a circular part which rotates. Duchamp said, "I always feel the need of round things and rotation. It is a kind of narcissism or self-fulfilling ......like masturbating. It was very strange to see chocolate made by miraculous process of running a machine." It sounds like a fetish. Apart from the fact that it could be an existential metaphor, repetition and rotation seem to have a strange appeal in general. They grant a certain autistic pleasure, immersive like Bach’s arrangement of repetition and variation of a theme.


“Artists are above all men who want to become inhuman.” What Apollinaire meant by this was that “to humanize art,” artists would want to be inhuman, defy personality. In Duchamp's Nude Descending a Staircase, the eros of nude is replaced by the eros of its movement; bachelor’s desire in Bachelor Machine, which is also called Love Machine, is represented as a rotating machine. But is "poetic impersonality" the only context for Duchamp’s infatuation with the machine? Was a machine to him just a "distancing" tool to convert sadness and pathos into pleasure and logic? When he first took a bicycle wheel and put it up on a stool, he said he just wanted to look at it. He would spin the wheel and watch it turning. We could say, at least, that he was the first artist who gave a meaningful gaze at the machine itself, even the eros of it. 


2013.12.05 ~ 2013.12.19

GALLERY CHOSUN


Jung Sung Yoon's 2013 solo exhibition Heavy Dot showed two large mechanical structures. One of them, Heavy Dot, with a huge black disk as a head and two weights hanging on both sides, is standing precariously balanced on a wooden crate. The work is inspired by a poem called Statue by Park Yang Yun who now no one remembers. This poem, in fact, is about a dot, distance, and rotational motion. The poem starts with the line, “If we can see the Earth rotating, it was moving just like that”, and then develops its image. Something was turning in an orbit at first, then comes closer becoming a stationary statue. And the statue starts to turn by itself. In Jung’s version, a dot is envisioned as a huge black disk (Although, in geometry, a dot is a unique position that has no weight, size, volume or color) which is static but unstable, seems to represent a certain finality.


If Heavy Dot came from an idea of a dot, You did from a line. You involves rotating movement. A five meter long stainless steel bar suspended from a vertical pole, structurally resembling a tower crane, turns like a revolving door, opening space or blocking you. Depending on where you stand, the bar comes at you or leaves you. You is meaningful only when it moves (not the other way around) and the movement makes it impossible to meet. It is an endless rotation of impossible encounters.



Jung says it is sad looking at a machine; it is always moving. It is not the same as saying that life is sad. Life is sad, let’s say, because it ends, machine’s movement is sad because it doesn’t stop, at least theoretically. It is sad to watch it move; sadness becomes libido, which is what moves Jung. A series of video work Symmetry X is a good example. Desire born out of sadness, gives birth to  a steady gaze, which produces life again. He took a silent long-take of a moving tower crane in a construction site. In the video, he creates kaleidoscopic images of a cropped crane that moves slowly, quickly, and sensually like an insects’ thin long legs. He created this shining, symmetric life form because he wanted to show a machine on a construction site as an organism from another planet. “Tyger Tyger, burning bright, /In the forests of the night; /What immortal hand or eye, /Could frame thy fearful symmetry?” As William Blake admired nature’s mysterious patten, here, a machine, a human invention, reborn as nature’s fearful symmetry. It is noteworthy to point out that symmetry is in the form is X. X is a perfect symmetrical character and a symbol of the unknown and negation.



Machine has been a life time obsession for Jung. When he was a little boy, he divided a drawing paper in half and drew the outer shape of a robot on one side and drew the cross section of a robot on the other side. Early awareness of inner parts developed into erotic recognition of the internal. He says internal parts of people and machinery are intrinsically erotic; their endless rubbing and friction going on with gooey lubricants and bodily fluids present. For most people, it would be unseemly or even terrifying to look at what is inside human being or a machine. Because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internal structure and processes not to mention its relation to death and destruction. Jung's fascination exactly lies in what others are uncomfortable with.


In his first two web work, Memory Device and Love Letter, it is suggested that these works were built with mysterious paths on the web, like the inside of machine, nuanced of a certain sense of finality and death. Surprisingly, Memory Device, which he meant to introduce himself, is composed of images that look like ones of the deceased. Love Letter is an intellectual, but schizophrenic requiem for lost love. He looked up every word in a letter from his lover in a dictionary, and arranged the definitions which completely changed the meaning of the letter. The mechanical act of lookin up all the words eventually leads to destruction of meaning. In this case, sadness becomes a steady gaze which becomes a state of empty confusion. It can’t get any sadder than this. Recognition of inner life is sad. Like a Machine, Jung's power is inside (his recognition of sadness). Sadness becomes a machine that makes the art. And his art would make us look inward. Jung Sung Yoon will keep moving in this loop like one of his machines.



기계내부의 에로스


박상미

 

생각은 기계가 되고 기계가 예술을 만든다.

-솔 르윗

 

현대미술의 장면에 변기를 들여놓은 것도기계를 들여놓은 것도 뒤샹이었다그의 첫 번째 레디메이드는 <자전거 바퀴>(1913)두 개의 바퀴로 구성된페달을 밟아 돌리는 자전거가 나온 것이 1865(엔진의 발명도 이때쯤이니 자전거는 생각보다 꽤 최근에 발명된 기계다). 그러니 1913년에 자전거 바퀴 한쪽을 떼어낸 후 그것을 뒤집어서 부엌에서 쓰던 스툴 위에 고정시킨 행위는 마치 최신형 우주선의 일부를 잘라 엉뚱하게 조작한 것과 비슷한황당하게 앞서간 행위임에 틀림없다자전거의 기능이 거세되긴 했어도 바퀴는 돌아갔고공식적으로 최초의 움직이는 조각kinetic sculpture’으로 기록된다뒤샹은 같은 해 역시 기계인 <초콜릿 그라인더>를 그렸고초콜릿 그라인더가 한쪽에 들어간 <총각들에게까지 발가벗겨진 신부>(주로 <커다란 유리>라 불리는)도 그 시기에 작업을 시작했다결국 그는 1925년 모터가 달린 기계까지 제작했는데 <회전하는 반구>가 그것이다원판 가운데 소용돌이가 그려진 나무로 된 반구가 붙어 있고 원판을 돌리면 마치 반구가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것처럼 보인다. ‘망막적retinal’ 미술에 불만이 있었던 뒤샹은 시각에 교란을 가져오는 기계를 만든 것이다.


이 정도면 뒤샹을 최초의 기계 미술가라 불러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자전거 바퀴>, <초콜릿 그라인더>, <회전하는 반구>의 공통점은 뭔가 둥근 것이 회전하는 기계라는 점이다반복해서 돌아가는 것들…… 뒤샹은 이렇게 말한다. "나는 살면서 언제나 둥근 것들회전에 대한 필요를 느껴요그건 일종의 나르시시즘이고자기충족적인…… 일종의 자위라 볼 수 있어요기계가 돌아가고 어떤 기적적인 과정에 의해서 초콜릿이 만들어지는 것이 나는 언제나 너무 신기하게 느껴졌어요." 이건 거의 페티시다반복과 회전…… 굳이 실존적인 은유를 떠올리지 않더라도 기묘하고 오래된 끌림이 있다바흐의 대위법 속에 끝없이 빠져들며 이상한 쾌감을 느끼는 것도 이런 종류라 할까현대 사회의 속도에 마초적으로 열광하던 마리네티는 자동차를 찬양했고미래주의의 영향을 받은 화가들이 기차와 비행기를 그림 속에 들여놓기도 했지만 기계가 되고 싶어라고 말한 것은 앤디 워홀에 와서였다뒤샹의 <계단을 내려가는 누드>에서 누드의 에로스는 움직임으로 대치되고, ‘러브 머신이라 불리기도 하는 <……발가벗겨진 신부>에서는 총각들의 욕망이 회전하는 기계와 함께 남겨진다한 미술사가가 지적했듯뒤샹의 기계에 대한 관심은 그가 추구하던 시적인 냉담함의 맥락이기만 할까기계를 냉담하지 않게 본 것은 아닐까물론작업에서 아름다움이나 감정의미를 의식적으로 벗겨내려 했던 뒤샹에게는 기계가 슬픔을 일종의 놀이로감정을 생각으로 전환시키는 거리두기의 도구였던 것은 분명하다하지만 전적으로 도구라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그는 기계에 도구적 의미를 부여하기보단 기계 자체를그 자체의 허무한 에로스를 본 사람이었다.  


정성윤의 2013년 전시 무거운 점은 상당히 커다란 두 개의 기계 또는 기계적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무거운 점>은 검은 원판을 머리로 한 거대한 입상인데 실제로 이 작업은 입상이라는지금은 아무도 기억하지 못하는 시인 박양균의 시를 바탕으로 한다놀랍게도 이 시는 둥근 것()과 거리회전운동에 관한 것이다. “지구가 도는 것이 눈에 보인다면그것은 꼭 그렇게 돌고 있었다라고 시작되는 이 시가 가진 이미지들은 이렇다처음에는 지구가 태양 주위를 자전하듯중심에서 일정하게 거리를 둔 무언가가 돌고 있다그러다가 그것은 가까워지더니 멈추었고 움직일 수 없는 입상이 된다그리고 그 입상은 혼자 돈다…… 이렇게 시가 형상화된 기계 <무거운 점>은 도는 대신 무게가 다른 추 두 개를 매달고 있다불균형을 이루는 두 개의 추는 거대하고 단단해 보이는 입상이 얼마나 불안한 것인지 말해준다여기서 <무거운 점>은 커다랗고 검은 원판으로 표현되었다(기하학에서 점이란 면적도 무게도 색도 없는유일무이한 위치이다). 회전을 멈춘 둥근 것이 가슴속에 들어와 검은 점이 되었고이는 멈춤’, ‘마지막’, ‘존재를 상징하는 시적 차원의 점이라 하겠다. <무거운 점>이 점이었다면 전시의 다른 기계 <You>는 선이다회전운동은 <You>에서 이루어진다갤러리의 두 벽 사이를 꽉 채운 거대한 선이 회전문처럼 막았다 열었다를 반복하며 돌고 있다. <You>는 끊임없이 다가오고멀어지고막아서고열어주지만 만날 수는 없다. <무거운 점>에서 둥근 것이 다가와 멈추고 관계가 끝나는 것처럼 <You> 역시 인간관계 내부를 구성하는 불가능과 부재의 풍경이다나에게 유의미한 너라는 대상은 움직여야만 존재하고(그 반대가 아니라), 움직임은 만남을 불가능하게 한다끝없는 불가능의 회전이다.


정성윤은 기계가 슬프다고 말한다. 처연하다고. 그 이유는 항상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란다. 움직이고 있어 슬프다는 말은 살아 있어 슬프다는 말과는 차이가 있다. 뒤샹처럼 냉담하진 않아도 페티시적이고, 시적이다. 움직임은 슬프고 슬픔은 리비도가 된다이 동력이 정성윤을 움직이게 하는데, 이는 그의 일련의 영상 작업 <Symmetry X>에서 잘 나타난다. 애욕이 된 슬픔은 응시를 낳고 응시는 다시 어떤 생명체를 낳는다. 이를 테면 이런 거다. 옥수동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타워크레인이 움직이는 모습을 오래 찍는다. 먹먹한 롱테이크처럼. 그 영상으로 그는 X자로 요약되는 방사상의 대칭 형태(만화경을 닮은)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이는 마치 길고 가냘픈 다리를 가진 곤충처럼 느리게, 또 빠르게, 관능적으로 움직인다. 일상의 기계들을 마치 다른 별에서 온 생명체처럼 표현하고 싶었다는 그는 둥글고, 반복하듯 움직이는, 반짝이는 대칭의 생명체를 만들어낸 것이다. “호랑이여! 호랑이여!/ 밤의 숲 속에서 빛나는 불꽃이여/ 어떤 손, 어떤 불멸의 시선이/ 그대의 무시무시한 대칭을 빚어놓을 수 있었던 거냐?” 윌리엄 블레이크가 이렇게 감탄하던 자연의 아름다운 형태, 대칭은 호랑이가 아닌 기계의 몸을 빌려 태어나는 것이다. 그런데 그 형태가 X인 점은 주목할 만하다. X는 완벽한 대칭의 문자이면서, 미지수, 미지의 이름을 뜻하기도 하고, 자기 삭제를 뜻할 수 있는 기호이기도 하다


정성윤의 기계에 대한 관심은 오래된 것이다. 초등학교 때 로봇을 그리면 종이를 반으로 나누어 한쪽에는 로봇의 외형을, 다른 한쪽에는 그 단면을 그렸다고 한다. 내부에 대한 초기의 자각은 내부에 대한 에로스적 인식으로 발전한다. 그는 사람이나 기계의 내부가 에로틱하다고 말한다. 끊임없이 마찰이 일어나고 윤활액으로 끈적끈적한…… 보통 사람에게 내부는 무섭다. 첫째는 이해하기 힘든 경로를 인식해야 하는 부담감 때문이고, 둘째는 죽음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정성윤의 내부에 대한 관심은 보통 사람들이 거리끼는 이유에서 출발하는 듯하다. 이는 정성윤의 첫 작품들이라 할 수 있는, 두 편의 탁월한 웹 작업 <기억장치>, <러브레터>에도 드러난다. 이 두 편의 작업에는 기계의 내부같이 알 수 없는 경로, 그리고 마지막죽음의 뉘앙스가 강하게 깔려 있다. 자신을 소개하고 싶어 만들었다는 <기억장치>는 놀랍게도 마치 오래된 죽음처럼 느껴지는 이미지들로 이루어져 있고, <러브레터>는 사랑이 끝남을 애도하는 지적이면서도 착란적인 레퀴엠이다. 연인이 쓴 편지의 단어들의 사전적 의미를 모두 찾아 나열해보니 의미가 완전히 달라졌다는 것인데…… 떠나가버린 연인의 말 하나하나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가는 것은 다분히 기계적이지만 어떤 효용으로 연결되지 못한 채 의미의 분열을 낳는 공황의 상태에 이르고 만다. 이 경우 슬픔은 응시가 되고 응시는 데 키리코 류의 텅 빈 착란의 상태를 낳는다. 슬픔이 이보다 더 슬퍼질 수는 없을 듯하다. 그러고 보면 내부에 대한 인식은 슬프다. 내면이 없는 사내아이들이 항상 즐거운 것처럼, 안을 들여다보지 않는데 어떻게 슬플 수 있겠는가. 모든 기계가 그렇듯 정성윤의 동력도 내부에서 온다. 슬픔은 기계가 되고 기계는 예술을 낳는다. 정성윤은 그렇게 무한 반복할 것이다